
장애인환자의 치주질환 병인 치태는 칫솔질과 혀와 볼, 음식물 등에 의한 자정작용의 접근이 어려운 치면에 잘 형성되는데, 부적절한 구강위생, 세정 작용이 거의 없는 부드러운 음식의 섭취, 근육 운동 장애를 보이는 장애인의 치면에 과다한 치태의 침착이 나타납니다. 많은 장애인 환자에서는 교합면까지 침착된 치석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많은 장애인에 있어서 한정된 식사와 비정상적인 근육 기능은 치아 지지구조의 기능적 자극을 감소시키고 유해한 치태의 침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파킨슨씨병,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근이영양증 같은 신경근육성 질환에 관계된 환자들의 구강 및 안면 근육 기능조화의 결여는 음식을 부드러운 것으로 제한합니다. 이로 인해 부적절한 저작기능과 구강위생은 치주건강에 위해하게 작용할 ..

노화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화 연령증가에 따른 장기기능의 변화는 모든 장기에서 일어나고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비가역적입니다. 키는 40대에 줄어들기 시작해서 일생동안 2-5cm 정도 줄어드는데 이는 추간원판이 위축되기 때문입니다. 피하지방은 50세가 지나면 수족과 안면에는 소실되고, 반면에 복부와 둔부에는 축적됩니다. 근육은 감소하고 힘이 떨어지며, 골격계에는 재생보다는 소실이 더 우세해집니다. 주름살은 증가하고, 두발은 빠지고 색깔도 회백화되며, 피하조직의 위축을 보입니다. 큰 동맥들은 길이가 늘어나고 곡절이 생깁니다. 고령에서는 대부분의 장기 무게가 감소하나 예외적으로 심장과 전립선은 커집니다. 65세가 되면 안정시 심박출량, 폐활량, 신장의 무게와 신세포의 숫자 모두 감소합니다. 신경세포의 수도..